국민연금 수령액 조회 방법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요즘 노후 소득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지고 있는데요, 그중에서도 '국민연금'은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필수적인 노후 소득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국민연금 수령액 조회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연금은 꼬박꼬박 내면서도, 나중에 얼마를 받게 되는 건지, 모르시는 분들이 더 많을텐데요. 의외로 조회 방법이 엄청 편리하고 간단하답니다. 또한 '추가 납부'를 통해 수령액을 늘리는 방법도 함께 알아볼게요. 천천히 따라와 주세요!
(사진을 확대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필수 check!
국민연금은 가입 기간이 최소 '10년' 이상이고, 국민연금관리공단에서 정한 나이가 도래하였을 때, '평생'지급이 됩니다.
수급 개시 연령의 경우 출생 연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각자 수급 연령을 확인하셔야겠죠.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
출생연도 | 53-56년생 | 57-60년생 | 61년-64년 | 65년생-68년생 | 69년생 이후 |
수급 연령 | 만61세 | 만62세 | 만63세 | 만64세 | 만65세 |
조기수급가능 연령 | 만56세 | 만57세 | 만58세 | 만59세 | 만60세 |
솔직히 당황스럽습니다. 69년 이후 출생자는 만 65세에 국민연금이 개시가 되네요. 요즘 퇴직 연령을 고려하여 볼 때, 국민연금이 너무 늦게 나와서 공백 기간 노후 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이러다간 요즘 젊은 사람들은 만 70세에 수령하는 것 아닌가 모르겠네요;
그렇다면, 조기 수령은 안 되는 것일까요? 조기 수령에 대해서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연금 조기수령 방법 및 예상 금액
국민연금 조기수령 조건
조건 충족 시 조기수령은 가능하지만, 더 길게 받는 만큼 금액은 줄어들게 됩니다.(ㅠㅠ) 조기수령 방법과 예상 금액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가입 기간이 10년 이상이 되어야 하며,
- 55세~60세(위 표에서 확인하세요. 수급연령-5 하시면 됩니다.)
- 소득이 있는 업무에 종사하지 않아야 함.
국민연금 조기수령 시 예상 금액(53-56년생을 기준)
56세 기준(5년 빨리) | 57세 기준 | 58세 기준 | 59세 기준 | 60세 기준(1년 빨리) |
70% | 76% | 82% | 88% | 94% |
표를 확인해 보시고, 자신에게 유리한 지급 시점을 정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조회방법
국민연금 수령액은 국민연금 공단에 들어가셔야 합니다. 사이트에 접속하시기 전에, 공인인증서를 준비해 주세요.
만약 인증서가 없다면, 아래의 정보들을 입력하면 간단하게 예상 연금액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인 인증서가 있다면, 더욱 자세한 조회가 가능하니, 꼭 공인인증서를 준비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행히 네이버 인증이나 카카오페이 로그인 또한 사용 가능하니, 쉽게 인증할 수 있답니다.
https://www.nps.or.kr/jsppage/csa/csa.jsp
지금까지 국민연금 수령액 조회방법 및 정보들을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끝!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미어리그(EPL) 2020-2021 연봉 순위(Feat. 손흥민 주급) (0) | 2021.06.08 |
---|---|
부산 동백전 어플 재설치 및 카드 재발급에 관해: 짜증나네요!! (0) | 2021.04.07 |
4차 재난지원금 대상자/금액/신청 방법 정확히 알고, 꼭 혜택 챙기세요! (0) | 2021.04.01 |
생활형 숙박시설 2년간 규제 유예 소식! : 과연 2년 만일까!? (0) | 2021.03.31 |
기차 출퇴근! (코레일) 일반 정기권/기간 자유형 정기권 차이점 및 구입방법 (0) | 2021.03.29 |